학력

2008년 2월 서울대학교 미학과 학사 졸업
2011년 2월 동대학원 졸업, 문학석사학위 취득
「포스트모던적 비재현 연극의 미학: 말할 수 없는 것을 증언하기
― 리오타르의 분쟁 및 비인간 개념을 중심으로 ―」
2018년 9월 프랑스 렌느2대학 공연예술학 박사학위 취득
「재현불가능한 것을 다루는 동시대 공연에서의 몸의 장치들에 대하여
(Les dispositifs corporel sur la scène contemporaine traitant de l’irreprésentable)」

경력

2009년 12월 서울국제공연예술제 및 연극평론가협회 주최 <젊은 비평가상> 수상
2010년 2월 ~ 2011년 2월 한국연극평론가협회 간사
2011년 3월 ~ 2012년 12월 한국예술종합학교 연극원 파트리스 파비스 교수 강의 통역
2011년 4~6월 국립극단 학술출판팀 객원기자로 근무
2010년 9~10월, 2011년 6~7월 한불합작공연 <코뿔소> 통역/드라마터그
2012년 3월~ 2012년 12월 독립예술웹진 인디언밥 편집위원
2012년 6월 한국예술종합학교 레퍼토리 공연 장 아누이 원작 <반바지> 번역
2012년 7월 극단 목화 <템페스트> 헝가리 Gyula 셰익스피어 페스티벌 공연 수행 통역
2013년 3월 샤를로트 델보 탄생 100주년 기념 국제 학회 기획 운영
2014년 1월 파트리스 파비스 『동시대 연극 및 퍼포먼스 사전』 프랑스 출판본(Armand Colin) 윤문
2014년 6월 극단 성북동비둘기 <메디아 온 미디어> 루마니아 시비우 페스티벌 통역/프로덕션매니저
2014년 7월 극단 성북동비둘기 <메디아 온 미디어> 싱가폴 아트 페스티벌 통역/프로덕션매니저
2014년 10월 극단 성북동비둘기 <자전거(Bye Cycle)> 서울 공연 드라마터그/프로덕션매니저
2018년 8월 삼일로창고극장 기획 퍼포논문 <노래의 마음> 공연 연출 및 출연 외 다수

한국 출판물

「인생의 효과 – 세르쥬의 효과」, 『연극평론 2010 봄호』
「아비뇽의 여름, 그 황홀한 뒤섞임」, 『연극평론 2010 가을호』
「죄 없는 눈처럼, 오고가는 빛 그늘 – 3월의 눈」, 『계간 연극 제1호』
「코뿔소 되기, 혹은 되지 않기의 어려움」, 『연극포럼 2011』
「삶을 지속시키는 진동 – 2011 아비뇽 페스티벌에 대한 단상」, 『계간 연극 제2호』
「예술(人)과 일반(人), 그 아슬아슬한 유희를 위하여」, 『독립예술웹진 인디언밥 2012.3』
「좋은 예술」, 『독립예술웹진 인디언밥 2012.12』
「Festival Mantica 2013 – 정금형 <7 ways>」, 『독립예술웹진 인디언밥 2013.11』
「시론 – 창작에 대하여」, 『독립예술웹진 인디언밥 2014.5』
「문화로서의 자전거」, 『<자전거(Bye Cycle)> 공연 프로그램북 2014.10』
「사라짐을 딛고 쓰다 : 공연예술비평에 대하여」, 『공연예술비평플랫폼 비틈 2015.1』
「신데렐라, 재를 털어주는 이름 : 조엘 뽐므라의 희곡 <신데렐라>의 한 장면에 부쳐」, 『일상시화 제0호』(2016.7)
「함께 전구를 가는 법」, 『청소년희곡집 여학생』(2017.11)
「오브제에 관하여 : 대상에서 사물로」, 『사물함 1호』(2018.5)
「연극을 끝까지 보기 위하여 – 연극계 미투 이후」, 『독립예술웹진 인디언밥 2018.5』
「무엇보다 우리의 현재를 위하여 – 임흥순의 <우리를 갈라놓는 것들 > 에서 보이는 재연의 문제에 관하여」, 『국립현대미술관 전시 도록』(2018 출간 예정) 외 다수

프랑스 출판물

「샤를로트 델보 : 몸의 글쓰기」, 『샤를로트 델보, 작품과 앙가주망』, PUR, 2014
« Charlotte Delbo : l’écriture du corps », in Charlotte Delbo, Oeuvre et engagements, (dir. Christiane Page), Rennes, PUR, 2014
「범람하는 이미지들: 로메오 카스텔루치 연극에서의 응시의 문제에 관하여」, 『오브제/응시』, 프로이드 학회, 2016
« La prolifération des images : la question du regard dans le théâtre de Romeo Castellucci », in L’objet Regard, L’école de la Cause Freudienne, 2016. (https://www.lobjetregard.com/2016/11/03/la-proliferation-des-images-par-jungweon-mok/)

학회 발표

「동시대 공연에서 배우의 몸과 관객의 몸 사이 관계에 대하여 – 운동감각적 공감을 중심으로」, 2013년 11월, 렌느2대학 콜로키움 <미학적 관계, 수용의 장치, 연극성>
« La relation entre le corps de l’acteur et celui du spectateur dans les spectacles contemporains : la notion de l’empathie kinesthésique », au séminaire doctorale sur « Relation esthétique, dispositifs de réception, théâtralité » de l’équippe APP, le 23 novembre 2013, Université Rennes 2
「충동적인 사랑 : 여성의 외상적 몸에 관한 안젤리카 리델의 작업에 대하여」, 2017년 3월, 렌느2대학 국제학회 <몸과 예술 : 정신분석학적 관점으로>
« L’amour pulsionnel : le travail d’Angélica Liddell sur le corps féminin traumatisé », au colloque international « Corps et Création Artistique : Perspectives Psychanalytiques », 30-31 mars 2017, Université de Rennes 2
「진정성과 인위성이 함께 추는 춤 : 로메오 카스텔루치의 <봄의 제전(2014) > 과 루신다 차일즈의 <춤(1979/2014)>」, 2017년 5월, 몬트리올대학 국제학회 <진정한 인위성>
« L’authenticité et l’artifice dansant ensemble : Sacre du Printemps (2014) de Romeo Castellucci et Dance (1979/2014) de Lucinda Childs », au colloque international « Authentique Artifice », 18-20 mai 2017, Université de Montréal

특강

「트라우마에 관한 글쓰기의 두 층위 (종이와 무대) – <자전거> 사례를 중심으로」, 2013년 12월, 렌느2대학 석사 강의
« Les deux niveaux d’écriture du traumatisme (du papier et du plateau) dans un exemple coréen de La Bicyclette », Séminaire de M1 et M2 sur le traumatisme, Rennes 2, le 12 décembre 2013
「검열에서 장치로」, 2014년 3월, 렌느2대학 석사 강의
« De la censure aux dispositifs », Séminaire de M1 sur le discours de la censure, Rennes 2, le 20 mars 2014
「샤를로트 델보의 글쓰기에서 나타나는 몸의 문제에 대하여」, 2014년 3월, 렌느2대학 석사 강의
« Sur la question du corps dans l’écriture de Charlotte Delbo », Séminaire de L sur Charlotte Delbo, Rennes 2, le 20 mars 2014
「세월호 침몰 이후 한국 사회에서의 연극의 기능에 대하여」, 2014년 11월, 렌느2대학 석사 강의
« La fonction du théâtre dans la société coréenne après le naufrage du Sewol », Séminaire de M1 sur la fonction du théâtre, Rennes 2, le 20 novembre 2014
「트라우마에 관한 글쓰기 – <자전거> 사례를 중심으로」, 2014년 11월, 렌느2대학 석사 강의
« L’écriture du traumatisme avec un exemple de La Bicyclette », Séminaire de M2 sur l’écriture du traumatisme, Rennes 2, le 20 novembre 2014
「재현불가능한 것을 전달하기」, 2015년 10월, 렌느2대학 석사 강의
« La transmission de l’irreprésentable », Séminaire de M1 sur scènes et transmissions, Rennes 2, le 22 octobre 2015
「동시대 연극에서의 기계와 몸」, 2015년 10월, 렌느2대학 석사 강의
« Machine-corps dans des spectacles contemporains », Séminaire de M2 sur corps, arts de la scène et sciences, Rennes 2, le 22 octobre 2015
「한 세대에서 다음 세대로 : 고통의 전승」, 2016년 10월, 렌느2대학 석사 강의
« D’une génération à une autre : Transmission de la douleur », Séminaire de M1 sur scènes et transmissions, Rennes 2, le 20 octobre 2016
「카스텔루치 연극에서의 기계와 소리의 사용」, 2016년 10월, 렌느2대학 석사 강의
« L’utilisation des machines et du son dans le travail de Romeo Castellucci », Séminaire de M2 sur corps, arts de la scène et sciences, Rennes 2, le 20 octobre 2016
「재현불가능한 것의 증언」, 2017년 11월, 렌느2대학 석사 강의
« Le témoignage de l’irreprésentable », Séminaire de M1 sur scène et transmission, Rennes 2, le 16 novembre 2017

번역 출판물

파트리스 파비스, 「아비뇽의 글쓰기(2010) – 이야기하기의 귀환을 향하여?」, 『연극평론 2010 겨울호』
파트리스 파비스, 「포스트드라마 연극에 관한 고찰들」, 『포스트드라마 연극의 미학』, 푸른사상, 2011
파트리스 파비스, 「오늘의 문화상호주의 연극」, 『연극포럼 2011』
파트리스 파비스, 「관객에 관한 현재적 연구」, 『연극평론 2012 여름호』
파트리스 파비스, 「드라마투르기와 포스트드라마투르기」, 『계간 연극 제3호』
파트리스 파비스, 「21세기 인문학에서의 수행성과 매체성」, 『수행성과 매체성』, 푸른사상, 2012
파트리스 파비스, 「공연 분석에 관한 현재적 연구 – 연극학인가 퍼포먼스 이론인가 ?」, 『연극평론 2012 가을호』
파트리스 파비스, 「연극과 정치, 또는 정치 연극」, 『연극포럼 2012』
호미 바바, 「규정하기 어려운 오브제들」, 리움 아니쉬 카푸어 전시 도록
제인 진 카이센의 2016 리움 전시를 위한 작업 노트 및 영상 자막
제인 진 카이센의 2017 제주 비엔날레 전시를 위한 영상 자막
셀린 풀랑, 「페트라 제네트릭스와 서정적 조립공의 형상」, 일민미술관 김아영 전시 도록
코이치로 오사카, 「빨강과 파랑, 그리고 노랑」, 국립현대미술관 임흥순 <우리를 갈라놓는 것들> 전시 도록 외 다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