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연수의 단편 <푸른색으로 우리가 쓸 수 있는 것>에는 몸에 새겨진 먼 감각의 기억, 곧 “사랑했던 여자의 귀밑 머리칼에서 풍기던 향내나 손바닥을 완전히 밀착시켜야만 느낄 수 있는 엉덩이와 허리 사이의 굴곡 같은 것들”을 결코 문장화할 수 없는, 작가의 고통에 대한, 그리고 보다 근원적인 인간의 고통에 대한 뼈아픈 응시가 담겨있다: “자기 경험의 주인이 되지 못하기 때문에 인간은 괴로운 것이다. 한 여자와 헤어진 뒤의 나는 그녀를 사랑하던 시절의 내가 될 수 없기 때문에 고통받았다. 빨간색 볼펜을 들고 내가 쓰지 못한 것을 쓰기 위해 안간힘을 쓸 때의 작가와 마찬가지로.”

나에게 있어 공연예술비평의 본령은 사라짐을 딛고 쓰는 것, “사랑을 잃고 나는 쓰는”(기형도) 것에 기반한다. 그것은 감히, 고통스러운 일이다. 단 하나의 시공, 그때 그 순간의 몸들, 설명할 수 없고 예견할 수 없는 에너지, 감각의 간질어짐, 문득 발이 걸려 넘어지던 마음의 동공(洞空). 공연예술이라는 것은 그렇게, 그 누구도 다시는 똑같은 물에 발을 담글 수 없듯 그렇게, 물살처럼 우리를 스쳐가는 섬광으로 존재한다. 그리고 이내, 사라져버린다. 하여 나의 글쓰기 속에 담기는 그 어떤 대상으로서의 공연은 언제나 과거의 것이며, 사라진 것이다. 내 글을 읽는 그 어느 독자도 영원히 볼 수 없을, 비디오 테입을 되감듯 무심히 재생할 수 없을, 완전한 비실체인 것이다. 그리하여 나는 어느 날, 그 어느 음습한 골목을 비척비척 돌아나오며 이렇게 기록했다: “혼미한 정신으로 파리 북역의 인도 거리를 걸어 피터 브룩의 부프뒤노르 극장에 다다랐다. 낡고 육중한 건물의 냄새에 취한 채 막 뒤에서 연주되는 une chanson douce를 들으며 내가 낳지 못할 아이들을 생각하다가, 어느 장면에서는 졸음이 쏟아져 꾸벅거리고 또 어디쯤에선 돌연 깨어 울컥하다가, 이 모든 풍경과 감각들이 영원히 누구와도 나누지 못할 나만의 것임을 생각하고.”

생각하고,
그럼에도 글을 쓴다는 것.

검정색 볼펜으로도 빨간색 볼펜으로도 쓸 수 없는, 그리하여 “푸른색으로 우리가 쓸 수 있을” 것은 아마도 어느 아침 창경원을 메우고 있던 동물들의 침묵, 혹은 가슴팍을 찍은 엑스레이에서 발견된 하얀 구멍, 그 작은 암세포 같은 것이었노라 소설이 맺음할 때에, 나는 그럼에도 작가가 그 구멍에 대해, 침묵에 대해, 침묵하지 않고, 그럼에도 썼다는 것을 잊지 않았다. 최종심사를 앞두고, “아우슈비츠의 재현불가능성”을 다루었던 석사논문의 서론에서 나는 내 글이, 말할 수 없는 것을 비재현적 감각으로 증언하는 동시대 연극의 한 의의에 대한, “말로써 이루어진 하나의 부족한 증언이 될 수밖에 없겠”노라고 썼었고, 한 심사위원으로부터 그 부끄러움이 틀린 것이라 공격받았다. 언표불가능한 것을 직접적으로 대면하고 있는 것은 예술일 뿐, 글쟁이인 우리는 비록 언표불가능한 것 자체에 대해서는 쓸 수 없지만, 그것을 다루고 있는 예술에 대해서, 말하자면 한 발 물러선 채 그 예술의 고통에 대해서 문장화하는 일은 실상 또 다른 층위에 놓여 있는, 여전히 고통스럽지만 명백히 가능하며 부득불 다해야 하는 우리의 사명같은 일이라는 것. 그것을 부끄러워하면 우리 같은 학자들의 기반이 무너진다, 라는 식의 강한 언변을 들은 것도 같다. 그 때의 달콤한 꾸중은 나를 얼마간 안도하게 했고, 그럼에도 여전히 아득하게 했다.

“나는 생각한다, 고로 나는 존재한다.” 라는 문장으로 데카르트가 근대를 열어젖혔을 때, 그 기저에는 이미 커다란 구멍이 뚫려있었다고 하는 식의 논의를 언젠가 들은 적이 있다. 말하자면 우리는 이렇게 물을 수 있다는 것이다: 생각하는 나를 바라봄으로써 나의 존재를 확신하는, 생각하는 나를 생각하는 나, 는 대체 어디에 있는가. 크리스토프 성인이 어린 그리스도를 업고 강을 건널 때, 아기 예수의 어깨에 전 지구가 짊어져 있었다고 한다면, 크리스토프의 두 발은 과연 그 어느 땅을 딛고 있었다 말할 수 있는가. 교수님이 말한 “또 다른 층위”의 글쓰기는 바로 그 같은 모순과 슬픔을 담고 있는 아득한 “거리 두기”에 기반한 것이었다. 그런즉 사라져간 공연에 대해서, 글을 쓴다는 것은, 그 어느 닿을 수 없는 거리를 친히 내 속에 새겨내는 까마득한 고통을 수반한다. 1824년 3월 27일자 슈베르트의 일기에는 이런 문장이 적혀있다: “어느 누구도 다른 이의 고통을 이해 못하며, 그 어느 누구도 다른 이의 기쁨을 알지 못하니. 타자를 향해 다가간다고 믿는 매 순간 우리는 그의 한 귀퉁이에 밖에 닿지 못하네. 아아 이 사실을 알고 있는 자, 고통 받으리.” 너의 고통과 나의 안온(安穩), 혹은 나 자신의 고통과 또 다른 나 자신의 안온, 사이의 거리. 그 영원한 몰이해를, 결코 완전할 수 없는 문장을, 바라보고 있는, 알고 있는 자의 고통. 그 부차적이고도 소극적인 고통이, 비평가로서의 나에게 메인 영원한 멍에와도 같다 한다면, 혹 지나친 엄살이 될는지.

얼마 전 한 공연을 보고 나와 까페에서 이야기를 나누던 중, “그 장면에서 저는 눈물이 나왔어요.” 하고 운을 뗀 내가 한 장면의 감각과 그때 그 여자의 독백이며 몸짓을 천천히 기억하여 읊어내자, 눈을 동그랗게 뜬 벗이 물었다. 어떻게 그걸 그렇게 다 기억하느냐고. “눈물이 나왔다고 했잖아요.” 어깨를 으쓱하며 무심히 답하고 말았지만, 사실 내 마음의 밑바닥에서는 눈물처럼 이런 답변이 새어나오고 있었다: “아름다운 것을 볼 때, 나는 기도하거든요. 제발 저것을 기억하게 해달라고. 이 순간이 흘러간 뒤에도, 공연장을 나선 뒤에도 꼭, 이렇게 아프게, 이렇게 선명히, 기억하게 해달라고.”

이루어지지 못할 것을 알고 비는 그 고통의 기도가, 명멸하는 순간에 대고 새기는 허허로운 몸짓이,
사라짐을 딛고 선 내 글쓰기의, 어쩌면 전부일는지 모를 일이다.

공연예술비평플랫폼 비틈 2015.1 http://beteum.com/board1/178